지난 21일 오후, 충남 공주의 한 고등학교에서는 60여년을 뛰어넘는 선·후배들이 한자리에 모여 아주 의미있는 행사를 가졌습니다.
"6 · 25 참전용사 모교 명패 증정" 행사인데요~ 김상기 육군참모총장과 공주고 출신 참전용사(7명), 동문 및 학부모, 보훈단체 관계관, 공주고 재학생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행사는 참전 선배전우 소개와 군악연주, 명패 증정, 의장대 공연, 유해발굴 사진 및 유물 전시회 등 다채롭게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6 · 25전쟁(1950.6.25~1953.7.27) 당시, 북한 공산집단의 무력도발에 맞서 목숨걸고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켜 오신 6 · 25 참전용사의 명예를 드높이고 미래의 주역인 학생들에게 나라사랑하는 마음과 선배들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지난 해 천안함, 연평도 도발이 있었지만... 지금 껏 아무걱정 없이 편안하게 생활해 왔는데...? "
오늘, 학교에서 6 · 25전쟁에 참전하여 용감하게 북괴군과 맞서 싸우신 대선배님들을 만나 뵙고서야,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평화가 그저 주어지는 공짜가 아니라는 사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60여 년의 세월이 지나 노병이 되어 모교를 찾아주신 자랑스런 선배님들께 우리 공주고등학교 전교생을 대표해서 최대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담아 이 꽃다발을 올려 드립니다.
가로 90cm * 세로 120cm 크기의 동판으로 제작된 이 명패에는 김종필 전 국무총리(19회)와 김희수 건양대 총장(20회) 등 공주고 출신 참전선배님 90분의 이름을 새겼는데요~~ 한 선배님(25회, 허 종)이 명패에 새겨진 이름을 보면서 감회에 젖어듭니다.
공주고등학교는 이 명패를 학교의 중심인 체육관 현관에 부착하여 전시함으로써 학교를 찾는 모든 동문 및 재학생, 방문객들이 자연스럽게 나라를 위해 몸바쳐 싸우신 참전용사들의 고귀한 희생정신과 뜻을 기리고, 위국헌신의 정신을 계승하는 '산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6 · 25 전사자 유해발굴 당시 각지에서 출토된 먼저간 전우들의 각종 소장품과 장구류를 김상기 육군참모총장과 참전 선배 전우들이 함께 둘러보면서 전쟁의 참상과 선배전우들의 활약상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육군은 올해 대전 · 충남지역의 초 · 중 · 고교 가운데 1942년 이전에 설립된 267개 학교 중 9개 학교를 명패 전달 학교로 선정했으며, 이번 공주고를 시작으로 매월 한 차례 참전 선배전우들의 모교를 방문하여 증정행사를 열고, 내년 부터는 전국적으로 확대·시행할 예정입니다.
국가와 국민을 위해 아무런 대가없이 목숨바쳐 싸우신 자랑스러운 선배님들께 바치는 이 명패는 세상에서 가장 고귀하고 값진 명패입니다.
"天下雖安 忘戰必危" ("천하가 비록 평안하더라도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태로워 진다")
빨갛게 녹슨 소총과 탄피, 구멍난 철모가 전쟁의 참상과 세월의 흔적을 전해주고 있네요~
<6 · 25 전쟁의 흔적들...>
'든든하軍 > 육군은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투능력 자격인증제 (2) | 2011.06.02 |
---|---|
국민 편익 증진 (0) | 2011.06.02 |
신병 교육훈련체계 (0) | 2011.06.02 |
장병 삶의 질 향상 (0) | 2011.06.02 |
디지털 전투복 (0) | 2011.06.02 |
이 세상에서 가장 고귀하고 값진 명패! (6) | 2011.04.29 |
참 뜻깊은 명패입니다.
이런 분들이 있어서 저희가 지금의 평화를 누릴 수 있는 것이겠지요. ^^
하늘엔별님,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오늘 하루도 힘차게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비록 나이들어 이빨빠진 호랑이지만
아직도 마음만은 조국을 사랑하는 그런 분들이지싶네요..
귀한 선불 값진 명패로군요..^^
mami5님,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으로 귀한 명패입니다.
많은 응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오늘 하루도 힘차게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조국을 사랑해서 젊음을 헌신한 여러분들이 있어
후배들은 행복하게 살고 있답니다.
항상 건강하시기를 기원하며, 이런 행사를 마니 개최하여 기쁨을 같이 했으면 좋겠습니다.
산들강님,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러한 말씀 하나하나가 대한육군의 원동력이 된답니다.
오늘 하루도 힘차게 보내시기를 바랍니다.